예상 원인
- 1 인터넷을 이용 시 파일 다운로드 과정 또는 유틸리티 설치 시 제휴 프로그램 설치로 인해 광고 창 또는 불필요한 창(바이러스 치료 결제, 쇼핑 사이트 광고)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2 시작프로그램에 불필요한 프로그램이 등록되어 광고 검색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3 광고 창을 생성하는 일명 '검색도우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4 프로그램 목록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으나 C:\USERS\[사용자 계정명]\AppData\Roaming 폴더 내에 임의로 폴더를 생성해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 ※ 아래 조치 방법들을 진행 시 자료 손실, 부팅 안됨 증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예기치 않는 증상이 발생될 수 있는 부분에 대비하여 아래 내용들을 진행하기 전 반드시 중요데이터는 외부 저장 장치로 백업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해보세요
1단계악성프로그램을 제거해 보셨나요?
2단계MSCONFIG 명령어를 사용해 보셨나요?
3단계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해 보셨나요?
-
예
이런 경우에는 전문 상담사에게 자세한 내용을 확인 후 상담으로 안내받아 보시기를 권유 드립니다. "제품 사용문의" 메뉴에서 궁금하신 사항을 질문하여 전문 상담사의 답변을 받을 수 있으며, "전화상담 예약" 메뉴에서 원하는 시간을 선택하시면 전문 상담사가 직접 전화하여 상담해 드립니다.
제품 사용문의전화상담 예약
-
아니오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시작프로그램 설정을 변경해 보십시오.
레지스트리에서 시작프로그램 수정 방법
조치 방법
악성프로그램 삭제 방법
인터넷을 검색 시 자동으로 광고 창을 생성하는 일명 '검색도우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원치 않는 광고가 배포하는 것은 물론 악성코드가 유포될 수 있습니다.
1 제어판 프로그램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설치된 프로그램 중 악성프로그램을 삭제하여 불필요한 창이 나타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 ※ 위 그림은 특정 시스템의 예입니다.
※ 악성코드 제거 후 자료 손실, 부팅 안됨 증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악성코드 제거 전 중요데이터는 외부 저장 장치로 백업해 주시기 바랍니다.
- 1.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 [프로그램 제거], [프로그램 및 기능] 실행
- 2. 프로그램 목록 중 악성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제거를 진행합니다.
※ 제거목록 정보 참조용 (예시 - 아래 목록 중 사용 프로그램이 있다면 제거하지 마세요!)
ad79 ~ , adcare , Addendum - NM , addendum (ts) , Addendum Sidebar, Addendum Sidebar (Sponslink) , Addendum Sidebar(gamjoa) , Addendum Sidebar(gamjoa), ADDENDUM(멀티서치바) , ADDENDUM(키워드플러스바) , Addendum-nm , Addendum-nm, addentool , addmsidebar , adkeeper , adlineguide , ADPrime Components ~, ADPrime Components 1.00 , adsafer 삭제 , ADSTOP , advancepro 스마트링크 삭제 , 스마트서치 , 스마트키워드 ~ , IETab , TopGuide , MicroWebAD, WebGuide , Web-Guide(웹가이드) , Windows IE Tools
- 3. 프로그램 목록에는 하드웨어 장치 드라이버도 있습니다. 프로그램 제거 시 하드웨어 장치 드라이버 제거로 인해 인터넷 안됨, 사운드 안됨, 화면 이상 현상이 나올 수 있습니다. 제거가 어려울 경우 증상 발생 시점 기준으로 직접 설치하지 않은 프로그램이 있다면 관련 프로그램을 제거 후 시스템을 재 부팅합니다.
2 제어판 프로그램 목록에 등록되지 있지 않은 경우
인터넷 검색 시 자동으로 광고 창을 생성하는 일명 '검색도우미' 프로그램들은 원치 않는 광고를 배포하는 것은 물론 악성코드 유포될 수 있습니다. 관련 프로그램은 Windows 운영체제 내 제어판 프로그램 목록에 등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경로] C:\Users\[사용자 계정명]\AppData\Roaming 폴더 내에 임의로 폴더를 생성하여 프로그램이 설치됩니다.
프로그램 명 : 서브샵(SubShop), 사인키(SignKey), 퀵캐드(quickkad), 윈익스팬드(WinExpand), 나우 드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Now Dream Service Application)
※ 악성프로그램 제거 후 자료 손실, 부팅 안됨 증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예기치 않는 증상이 발생될 수 있는 부분을 필히 동의하신 사용자께서 진행해주시기 바랍니다. 악성프로그램 제거 전 필히 중요데이터는 외부 저장 장치로 백업해 주시기 바랍니다.
시스템 구성유틸리티의 시작프로그램 수정
시작프로그램 수정은 MSCONFIG 명령어를 사용하여 수정이 가능합니다. 시작프로그램의 설정을 변경하여 부팅 시 실행을 PASS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Windows XP, Vista, 7 운영체제
2 Windows 8, 8.1, 10 운영체제
- 1. Windows + X [작업 관리자] 실행 → 아래의 [자세히] 클릭

- 2. 메뉴 탭의 [시작프로그램] 클릭을 하면 시작프로그램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 Windows 시작 시 구동하지 않아도 되는 프로그램을 확인하여 프로그램명 클릭 후 아래의 [사용 안 함] 버튼을 클릭합니다.

- 4. 불필요한 항목을 변경 수정 후 시스템을 재 시작합니다.

레지스트리에서 시작프로그램 수정 방법
시스템 구성유틸리티를 이용하여 시작프로그램을 수정하였으나 변경이 되지 않는다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이용하여 시작프로그램 항목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 레지스트리 수정 시 주의해야 합니다. 다른 값을 삭제하면 Windows 사용에 오류가 생길 수 있습니다. 레지스트리 수정 전 이전 복원 지점 만들거나, 레지스트리 값을 내보내기하여 수정 이전 상태로 복구가 가능합니다.
1 Windows XP, Vista, 7, 8, 8.1, 10 운영체제
- 1. 컴퓨터에서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방법은 키보드 Windows 키 누른 상태에서 영문자 'R' 누르면 실행 창이 나타납니다.
- 2. 열기 옆 빈칸에 regedit 명령어를 입력하여 [확인]을 클릭합니다.

- 3.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에서 아래 경로 두 곳을 확인합니다.
- 1)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Run
- 2)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Run

- 4. 위 두 곳의 경로로 이동하여 우측 화면에 불필요한 항목이 있다면 해당 이름을 선택하여 마우스 우측 버튼 클릭하여 삭제를 누릅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종료하여 시스템을 재 부팅 시켜서 Windows 시작합니다.
위 방법으로 조치가 되지 않을 경우 전문 상담사에게 자세한 내용을 확인 후 상담으로 안내받아 보시기를 권유 드립니다. "제품 사용문의" 메뉴에서 궁금하신 사항을 질문하여 전문 상담사의 답변을 받을 수 있으며, "전화상담 예약" 메뉴에서 원하는 시간을 선택하시면 전문 상담사가 직접 전화하여 상담해 드립니다.
출처 : http://www.samsungsvc.co.kr/online/diagnosisView.do?Lcode=PC%2FOFFICE&code=S19&coreword2=%B3%EB%C6%AE%BA%CF(%BE%C6%C6%BC%BA%EA+%BA%CF%2F%C5%C7)+PC&coreword1=%C4%C4%C7%BB%C5%CD&searchTarget=&faqListOrderBy=&selectCtgrCodeFAQ=NODE0000124902&selectCtgrCodeDIAGNOSIS=NODE0000125037&selectCtgrCodeVIDEO=NODE0000125127&selectCtgrCodeDOWNLOAD=NOT&node_Id=NODE0000138575&q=&sq=&vsq=&oneCode=&onSrch=&anchorG=&sym_details_1=NODE0000138556&sym_details_2=NODE0000138571&sym_details_3=NODE00001385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