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Teams Guest
- outlook
- 아웃룩 초기화
- 원드라이브 설정
- Chrome 버그
- Outlook Web
- MS Office
- O365
- OWA
- 원드라이브 동기화 해제
- Outlook on the web
- 원드라이브 동기화 문제
- Teams
- OneDrive Sync Error
- Microsoft
- 아웃룩웹
- Onedrive
- 쉐어포인트 외부 공유
- sharepoint
- Outlook rule
- 화상회의
- Office 365
- chrome 오류
- OneDrive 설정
- Teams화상회의
- Outlook 초기화
- 팀즈
- 아웃룩 맥 에러
- 아웃룩 프로필 초기화
- outlook mac
- Today
- Total
목록IT, Digital, 컴퓨터, 스마트폰 (95)
IT민들레 - M365 Specialist
Posted at 2011/11/22 23:50 | Posted in Eclipse/일반 이클립스/Eclipse 메모리 Heap 영역 늘리기 이클립스를 사용하면서 시스템 과부하나 메모리 부족 현상을 느낀 경험이 많이 있으실 겁니다. 이는 JVM이 메모리 영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인데요, JVM 은 메모리 관리를 Heap과 PermGen 영역으로 나누어 관리하기 때문인데요. JVM의 일반적인 실행 영역은 Heap 영역이라고 합니다. PermGen 영역은 클래스 메타 데이터를 관리해 주는 영역이구요. 그렇게 때문에 JVM의 Heap영역과 PermGen 영역을 늘려주면 보다 전보다 원할한 작업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Heap영역과 PermGen영역을 늘리는 작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1. Ecli..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디에이치씨피]는 네트웍 관리자들이 조직 내의 네트웍 상에서 IP 주소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할당해줄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인터넷의 TCP/IP 프로토콜에서는, 각 컴퓨터들이 고유한 IP 주소를 가져야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조직에서 컴퓨터 사용자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때, IP 주소는 각 컴퓨터에 반드시 할당되어야만 한다. DHCP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 컴퓨터마다 IP 주소가 수작업으로 입력되어야만 하며, 만약 컴퓨터가 네트웍의 다른 부분에 속한 장소로 이동되면 IP 주소를 새로이 입력해야 한다. DHCP는 네트웍 관리자가 중앙에서 IP 주소를 관리하고 할당하며, 컴퓨터가 네트웍의 다른 장소에 접속..
2023년 9월 업데이트 아래 링크에 안드로이드 버전 및 삼성 휴대폰에 사용된 운영체제를 추가하여 정리해 놓았습니다. https://blog.naver.com/onoffline365/223206801257 안드로이드 버전 역사 및 삼성 갤럭시 S 운영체제 역사 우리나라 삼성의 휴대폰 대표 운영체제로 사용되는 안드로이드(Android) 버전과 삼성의 대표 모델인 갤럭... blog.naver.com 우리나라 삼성의 휴대폰 대표 운영체제로 사용되는 안드로이드(Android) 버전과 삼성의 대표 모델인 갤럭시 S 제품에 사용된 운영체제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안드로이드 버전 역사는 2007년 11월 5일 안드로이드 베타 버전부터 시작한다. 안드로이드는 구글과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가 개발한 모바일 운영 체제로,..
How many bytes = 1 KB? how many KB = 1 MB? and how many MB?8 Bits = 1 Byte 1024 Bytes = 1 KiloByte 1024 KiloBytes = 1 MegaByte 1024 MegaBytes = 1 GigaByte 1024 GigaBytes = 1 TeraByte
0까지 모든 숫자가 보인다면 모니터가 비정상적인 출력으로 눈이 아픈 상태. 3~4까지 보인다면 곧 교체해야 할 모니터-_- 7~8까지 보인다면 정상이라네요. 밝기조절 할때 참고하세요~^^
* 정상위치로 바꾸는 방법1. Ctrl키와 Alt키를 누른상태에서 화살표 윗방향(↑) 누름2. 그래픽옵션을 아래와 같이 설정 * 키보드 바로가기 키 사용안함 설정